네트워크를 이루는 장치

  1. 애플리케이션 계층
    • L7 스위치: HTTP 헤더, 쿠키, 요청 내용 등을 기반으로 정교한 트래픽 분산을 수행한다. 또, 헬스 체크와 보안 기능을 담당한다.

  2. 전송 계층
    • L4 스위치: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기반으로 트래픽 분산을 수행하고, 헬스 체크를 담당한다.

  3. 인터넷 계층
    • 라우터: 라우팅 테이블1을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.
    • L3 스위치: L2 스위치와 라우터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.

  4. 데이터 링크 계층
    • L2 스위치: 패킷을 기반으로 이더넷 프레임을 만들고, MAC 주소 테이블을 통해 목적지 MAC 주소로 보내주는 역할.
    • 브리지: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(LAN)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 장치.

  5. 물리 계층
    • NIC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(=LAN 카드).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PC에 설치된 회로기판. MAC 주소를 포함한다.
    • AP: Access Point. 패킷을 복사하는 장치. AP에 유선 LAN을 연결하여 무선 네트워크망을 구축할 수 있다.
    • 리피터: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장치.

목적지 네트워크 주소, 서브넷 마스크, 넥스트 홉, 메트릭, 인터페이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