래스터 이미지 vs 벡터 이미지

래스터 이미지

  • 픽셀1을 반복적으로 구성해서 만들어낸 이미지.
  • 세밀한 색상 표현이 필요한 이미지에 주로 사용된다.
  • 확대시 계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.
  • JPEG, PNG, GIF, WEBP 등이 있다.

벡터 이미지

  • 점과 점 사이의 곡선으로 이미지를 구성하는 방식. 곡선을 연속적인 함수로 변환하여 저장한다.
  • 로고나 도안 등 비교적 단순하고 크기 조절이 잦은 이미지에 주로 사용된다.
  • 확대해도 계단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.
  • 모든 픽셀의 컬러 정보를 저장할 필요 없이 기본적인 점의 위치만 저장하면 되기 때문에 파일의 크기가 작다.
  • 자연스러운 색상의 변화나 세밀한 그림을 표현하기 어렵다.
  • 모양이 복잡한 도형의 경우 래스터 이미지에 비해 처리하는데 오래 걸린다.


1픽셀: 화면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. 보통 해상도2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.
2해상도: 화면의 선명한 정도. 보통 픽셀 수를 통해 결정된다. 수평 픽셀 × 수직 픽셀의 형식.